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4

[Study] 생성모델 GAN/ VAE/ Diffusion Models 안녕하세요, 정글러 입니다.최근에 Sora, Stable Diffusion 등으로 화제가 되었던 생성형 모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비교 요약 GANVAEFlow-based ModelDiffusion ModelsLatent Space사용 O사용 O직접 계산사용 X (데이터 공간 직접)학습 안정성불안정안정적비교적 안정적매우 안정적데이터 품질고품질중간중간고품질생성 속도빠름빠름빠름느림특징적대적 학습으로 고품질 이미지 생성구조적 잠재 공간 활용 가능확률 밀도 계산 가능점진적 데이터 복원모델구조) Autoencoder 기반Variational Autoencoder (VAE)>> VQ-VAE정의Vector Quantization을 Variational Autoencoder(VAE)에 통합하여 이산적 latent sp.. 2024. 12. 20.
[Blueprint] Level Editor 기능 만들기-1 안녕하세요.정글러 입니다. 레벨 에디터로 Level Design / Material Instance Editor / Quick Command / Prefabs 기능을 만들어보겠습니다. 1. Editor Utility Widget Designer콘텐츠에 블루프린터 폴더에 에디터 유틸리티 위젯을 만듭니다.위젯을 만든 뒤에, 디자이너에서 에디터의 외형을 다듬어줍니다.에셋을 쉽게 transform할 수 있는 기능인 rotate와 scale 기능을 만들어주겠습니다. 2. Event Graph만들어놓은 변수를 클릭하고, 이벤트를 만들어줍니다.로테이션 값 조정버튼을 클릭할 때, 액터가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만들어주었습니다. 스케일 값 조정버튼을 클릭할 때, 액터의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sli.. 2024. 11. 19.
[Cinematic Sequence] 언리얼 엔진으로 시네마틱 영상 제작하기 안녕하세요.정글러 입니다.이제까지 공부한 것을 토대로, 언리얼 엔진을 통해 시네마틱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인터넷에 찾아보면 강좌로 구체적으로 나와있는 경우가 많은데요,저도 강좌들을 함께 공부하면서 제작하는 과정을 기록해보고자 합니다. 1. 제작 과정 PREVIEW우선 시네마틱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선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1. 주제선정 / 컨셉디자인 제작2. 제작에 필요한 소스/ 기술 튜토리얼 서치3. 애니메이션, 카메라, 레이아웃 세팅4. 라이팅 수정 및 렌더링 작업 제작에 필요한 에셋의 경우엔 언리얼 엔진의 마켓 플레이스에서 무료나 유료 에셋을 활용하고,애니메이션은 Mixamo나 캐릭터 크리에이터 같은 툴을 활용하여 기본 애니메이션을 가져와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이때, 어떻.. 2024. 11. 14.
[Study] Machine Learning과 Deep Learning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정글러입니다.오늘은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각 장단점도 함께 살펴볼게요!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 학습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학습 데이터의 특성(feature)의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1.  Machine Learning먼저 Machine Learning은 학습할 대상의 특성을 사전에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델이 학습합니다.예를들어, 연어와 송어를 구별하는 문제에서 물고기의 폭, 색상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미리 설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설정은 특성만 제대로 설정했다는 가정하에, 분류(classification) 단계에서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습니다. 또한 Machine Lea.. 2024. 11. 2.
[VR concert] 미래공연이 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정글러입니다.최근에 미래 공연으로, '콘서트 VR'과 관련한 흥미로운 기사를 봐서  정리해봤습니다.공연장을 너무너무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공연은 현장감과 사람들과의 호흡이 중요한데 과연 VR로 콘서트가 흥행할 수 있을까요.아직까지는 투자나 비용, 콘텐츠 부족, 엔터테인먼트의 협조적인 면에서 난항인 듯 합니다.콘서트 VR 뷰잉 시대 열린다[미래공연①] (2024.01.07)문제 해결을 위한 차선책으로 등장한 건 영화관 ‘뷰잉’이다. 뷰잉은 콘서트 현장에 가지 못한 이들이 영화관의 음향·방음 시설과 대형 스크린을 통해 현장의 열기를 간접 체험하는 행사다.콘서트VR(가칭)은 VR 촬영을 통해 오프라인 콘서트 무대에서 가장 가까운 플로어석과 비슷한 시야를 구현하고 팬들 함성을 360도로 느낄 수 있.. 2024. 10. 21.
[Study] Optimization_Backpropagation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