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XR/Contents

[Digital Twin] 네이버는 왜 디지털트윈을 만들었을까?

by 여기는 정글 2024. 3. 14.

안녕하세요. 정글러입니다.

 

요즘 공간을 3d모델이나 데이터로 저장/구현하는 과정에 관심이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디지털트윈에 관심이 가더라고요. 그런데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사용하는 것인지 궁금함이 들었습니다.

네이버는 왜 시티를 디지털 트윈으로 만드는 것일까?

 

1.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 세계를 그대로 복제해 디지털화하는 작업입니다.

네이버는 항공사진, 매핑 디바이스, AI기술을 활용하여 시티 전체를 디지털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랩스는 요구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고, 기술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즉, 실제와 같은 가상 세계를 만들고, 현실세계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왜 디지털 트윈을 만들까?

이는 현실이 아닌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공간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기 쉬워지고,

실험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3/10/24/OQTYQMDC6BCPJGD6OFFU6G3V2U/

 

네이버, 1000억대 사우디 디지털 트윈 사업 수주

네이버, 1000억대 사우디 디지털 트윈 사업 수주

www.chosun.com

작년 10월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트윈 사업을 수주한 사례가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도시 계획, 모니터링, 홍수 예측 등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디지털 트윈은 로봇, 자율주행, AR로 연결될 중요한 고리가 됩니다.

네이버의 ALIKE 솔루션을 통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3. ALIKE 솔루션

네이버 랩스의 ALIKE 솔루션은 3D모델, 로드 레이아웃, HD맵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도시 단위로 한번에 구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1) 3D모델

- 바람 길을 분석해 대기오염의 흐름을 조절

- 새로운 건축물이 도시 스카이라인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예측

 

3.2) 로드 레이아웃

- 도시 전체의 도로 레이아웃을 통해 차선 단위의 길 안내가 가능

 

3.3) HD맵 

Alike는 이미 확보한 3D모델과 도로 레이아웃을 바탕으로 MMS 데이터 스캔 기간과 처리 과정을 줄였습니다.

 

디지털 전환 시대, 5G를 이용한 자율주행, 로봇 등이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도시 전체를 디지털화하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다시금 네이버랩스의 기술력에 놀라게 

 

이러한 기술을 통해 콘텐츠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됩니다.

디지털 환경에 처해졌을 때 콘텐츠가 할 수 있는 영역, 어떻게 함께 융화될 수 있는지

고민해보는 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