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XR/Contents

[XR Content]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에서의 XR

by 여기는 정글 2024. 3. 12.

안녕하세요. 정글러입니다.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에서 XR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요?

1. TV 및 영화 무대 연출

영화의 배경을 LED월을 통해 실시간 게임 엔진을 사용하여 동적으로 렌더링해 배경이 캐릭터와 함께 움직이도록 합니다.

영국 애니메이션 및 콘텐츠 회사인 스튜디오 기글블로그는 가상 환경을 사용하는 것의 장점으로 두가지를 들었습니다.

1) 시간을 절약하는 것

2)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

- 스튜디오에서 LED월을 사용하면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작업해야 할 일을 미리 할 수 있기 때문에

- LED월을 통해 어떤 장소라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2. 메타버스에서 영화관람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것이 아니라 볼류매트릭 환경 내부에서 세계를 보면서 이동하고 날아다니는 것입니다.

집 안을 영화관으로 만들어주는 것. 최근 디바이스 없이, 특별 상영관인 Screen X가 이러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3면을 활용해서 좀더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별관입니다.

그런데 저는 실제로 가서 봤을 때, 상영관마다 다르겠지만 양쪽 벽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앞쪽 스크린이 작을 수 밖에 없더라고요.

그럴거면 그냥 가로가 긴 상영관에서 볼 것 같다,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보는 영화는 영화관에 갈 필요가 없으니 좀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겠죠!

 

3. 마케팅

각 브랜드에서 AR을 활용한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하나의 예시로 들어볼 AR 마케팅은 나이키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rt76l25ckY

나이키 에어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핸드폰을 켜면 AR이 뜨도록 만들어 마케팅 효과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개인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 인터랙티브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겠죠.

매장에서 실제로 착용해보면서 인증샷을 찍어 개인 SNS에 올리면서 홍보효과를 얻어내는 것이죠.

 

4. XR의 방향성

사용자들은 어떤 목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려 할 것인가?

스코넥 대표의 인터뷰는 '게임'이라고 답했습니다.

교육, 커뮤니케이션 등 존재하는 것의 게임화 '게이미피케이션'을 강조한 것입니다.

 

스코넥 엔터테인먼트 개발총괄 최정환님은 XR은 장비를 착용하면 특정한 공간이 제공되는 개념이라고 봐야한다고 말합니다.

즉 기존의 디바이스와는 다른 인터랙션 경험을 줘야 한다는 것이죠.

극적인 경험을 주는 방법을 고민하기, 가상 세계에서 발휘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 부여하기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